인스타 성공의 첫걸음: 조회 확인, 이보다 더 쉬울 순 없다!

인스타 성공의 첫걸음: 조회 확인, 이보다 더 쉬울 순 없다!

배너2 당겨주세요!

목차

  1. 인스타그램 조회수, 왜 중요한가?
  2. 게시물/동영상(피드) 조회수 확인 방법
    • 일반 피드 게시물의 조회수 확인
    • 동영상(피드 영상) 게시물의 조회수 확인
  3. 릴스(Reels) 조회수 확인의 비밀
    • 릴스 조회수의 특성과 확인 위치
  4. 스토리(Story) 조회 확인의 A to Z
    • 스토리 조회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법
    • 스토리 보관함에서 과거 조회수 확인
  5. 프로필 조회수(도달) 확인을 통한 인사이트
    • 프로페셔널 계정 전환 및 인사이트 접근
    • 프로필 방문 횟수(도달) 확인
  6. 조회수 분석을 통한 콘텐츠 최적화 전략
    • 수치 분석의 중요성과 다음 콘텐츠 방향 설정

1. 인스타그램 조회수, 왜 중요한가?

인스타그램에서 ‘조회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여러분의 콘텐츠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도달했고, 실제로 그들의 관심을 끌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직접적인 지표입니다. 특히 알고리즘 기반의 노출이 중요한 인스타그램 생태계에서, 높은 조회수는 곧 더 많은 잠재 고객에게 콘텐츠가 노출될 기회를 의미합니다. 콘텐츠의 영향력을 측정하고, 어떤 내용이 사용자들에게 반응을 얻는지 분석하여 향후 콘텐츠 제작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데이터가 됩니다. 이 데이터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만 알아도 인스타그램 운영의 절반은 성공한 셈입니다.

2. 게시물/동영상(피드) 조회수 확인 방법

인스타그램의 피드 콘텐츠는 사진(단일/슬라이드)과 동영상으로 구분되며, 조회수를 확인하는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피드 게시물의 조회수 확인

일반적으로 피드에 업로드된 사진이나 여러 장의 사진이 포함된 슬라이드 게시물(캐러셀)의 경우, ‘조회수’라는 용어 대신 ‘좋아요’ 수와 ‘댓글’ 수를 통해 반응을 1차적으로 확인합니다. 하지만 더 깊은 분석을 위해서는 ‘인사이트’ 기능을 활용해야 합니다.

  1. 프로페셔널 계정 전환: 정확한 조회수와 도달 범위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일반 계정에서 ‘프로페셔널 계정(크리에이터 또는 비즈니스)’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설정 및 개인 정보’ $\to$ ‘계정 유형 및 도구’ $\to$ ‘프로페셔널 계정으로 전환’을 통해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인사이트 확인: 전환 후, 해당 게시물 하단의 ‘인사이트 보기’를 탭합니다.
  3. 주요 지표 확인: 인사이트 화면에서 ‘도달’(게시물을 본 고유 계정 수)과 ‘노출’(게시물이 조회된 총 횟수, 한 사람이 여러 번 볼 경우 포함)을 확인하여 사실상의 ‘조회 규모’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피드 영상) 게시물의 조회수 확인

피드에 업로드된 짧거나 긴 동영상 게시물은 게시물 하단에 ‘조회수’가 바로 표시됩니다.

  1. 게시물 직접 확인: 피드에서 해당 동영상 게시물을 탭하여 실행합니다.
  2. 조회수 위치: 동영상 제목 또는 게시 시간 아래에 ‘조회 $\text{N}$회’ 형태로 숫자가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3. 추가 분석: 역시 ‘인사이트 보기’를 탭하면 동영상 재생 완료율, 오디언스의 반응(좋아요, 댓글, 저장, 공유) 등 상세한 데이터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릴스(Reels) 조회수 확인의 비밀

숏폼 콘텐츠인 릴스는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높은 도달률과 참여율을 보이는 콘텐츠 유형 중 하나이며, 조회수 확인이 매우 직관적입니다.

릴스 조회수의 특성과 확인 위치

릴스의 조회수는 해당 릴스 영상이 재생된 횟수를 의미하며, 피드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영상 자체에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1. 릴스 탭 이동: 프로필에서 릴스 탭(필름 모양 아이콘)으로 이동합니다.
  2. 개별 릴스 선택: 조회수를 확인하고 싶은 릴스를 탭하여 재생합니다.
  3. 조회수 표시: 릴스 영상 하단 또는 좋아요/댓글 버튼 주변에 ‘$\text{N}$회 조회’와 같이 숫자가 바로 표시됩니다.
  4. 릴스 인사이트 활용: 영상 하단의 점 세 개(옵션) 버튼을 누르고 ‘인사이트 보기’를 선택하면 릴스의 구체적인 퍼포먼스(도달한 계정, 재생 횟수, 참여 통계 등)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릴스 조회수는 특히 탐색 탭이나 피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되므로, 인사이트를 통해 유입 경로까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스토리(Story) 조회 확인의 A to Z

24시간 후 사라지는 스토리 콘텐츠는 실시간 반응을 확인하기에 최적화된 포맷입니다. 스토리의 조회수는 스토리를 본 ‘고유 계정의 수’를 나타냅니다.

스토리 조회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법

스토리가 활성화되어 있는 24시간 동안은 다음의 방법으로 조회자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내 스토리 탭: 앱 상단에 있는 본인의 스토리를 탭하여 스토리를 엽니다.
  2. 하단 ‘활동’ 확인: 스토리 화면의 왼쪽 하단에 ‘활동’ 또는 조회자 수가 표시된 아이콘을 탭합니다.
  3. 조회자 명단: 탭하면 스토리를 본 사용자들의 프로필 명단이 시간순으로 나타납니다. 상단에는 총 조회한 계정의 수가 표시됩니다.

스토리 보관함에서 과거 조회수 확인

스토리는 24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보관함’으로 이동합니다. 과거 스토리의 조회수나 조회자 명단을 확인하고 싶다면 보관함을 이용합니다.

  1. 프로필 메뉴 접근: 프로필 화면 오른쪽 상단의 삼선 메뉴($\equiv$)를 탭합니다.
  2. ‘보관’ 선택: 메뉴 중 ‘보관’을 선택하고 스토리 보관함으로 이동합니다.
  3. 과거 스토리 확인: 확인하고자 하는 과거 스토리를 탭하여 연 후, 하단의 ‘활동’ 아이콘을 탭하면 당시의 조회수 및 조회자 명단을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주제의 스토리가 과거에도 반응이 좋았는지 분석하는 데 유용합니다.

5. 프로필 조회수(도달) 확인을 통한 인사이트

개별 콘텐츠뿐만 아니라, 내 프로필 페이지 자체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방문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계정 성장의 전반적인 추이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프로페셔널 계정 전환 및 인사이트 접근

앞서 언급했듯이, 전체적인 조회수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프로페셔널 계정(크리에이터 또는 비즈니스)으로의 전환이 필수입니다.

  1. 프로필 페이지 이동: 본인의 프로필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인사이트’ 탭: 프로필 중앙에 위치한 ‘인사이트’ 버튼을 탭합니다.
  3. 기간 설정 및 확인: 인사이트 화면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기간(예: 지난 $\text{7}$일, 지난 $\text{30}$일 등)을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의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프로필 방문 횟수(도달) 확인

인사이트 내의 주요 지표를 통해 프로필 방문 횟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도달한 계정’ 확인: 인사이트 화면 상단의 ‘도달한 계정’ 섹션을 확인합니다.
  2. ‘계정 활동’ 세부 지표: ‘계정 활동’ 섹션을 아래로 스크롤하면 ‘프로필 방문 횟수’ 지표가 표시됩니다. 이 수치가 바로 일정 기간 동안 여러분의 프로필 페이지를 직접 방문한 고유 계정의 수입니다. 이는 단순히 콘텐츠를 본 것을 넘어, 여러분의 계정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사용자의 규모를 나타냅니다.

6. 조회수 분석을 통한 콘텐츠 최적화 전략

조회수를 단순히 확인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 콘텐츠 전략을 세우는 것이 ‘매우 쉬운 방법’의 최종 목적입니다.

수치 분석의 중요성과 다음 콘텐츠 방향 설정

확인한 조회수와 도달, 참여율 등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은 콘텐츠의 성패를 가늠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1. 성과 비교: 조회수가 높게 나온 콘텐츠와 그렇지 않은 콘텐츠를 비교합니다. 어떤 주제, 어떤 형식(릴스, 피드 영상, 스토리), 어떤 시간에 올렸는지 등 모든 변수를 상세히 기록하고 비교합니다.
  2. 오디언스 파악: 인사이트의 ‘오디언스’ 탭에서 콘텐츠를 본 사람들의 연령대, 성별, 거주 지역, 활동 시간 등을 파악합니다. 이 정보를 통해 콘텐츠의 타겟팅이 올바르게 되었는지 점검합니다. 예를 들어, 타겟층이 $\text{20}$대 여성인데 조회수가 높은 콘텐츠를 $\text{40}$대 남성이 주로 봤다면, 콘텐츠 내용 자체는 흥미로웠으나 타겟층에게는 충분히 도달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3. 반복 및 개선: 조회수가 높았던 콘텐츠의 성공 요소를 분석하여 유사한 주제나 형식으로 다시 제작해보고, 조회수가 낮았던 콘텐츠는 제목, 해시태그, 내용 구성 등을 개선하여 재시도할지 결정합니다.

결론적으로, 인스타그램의 모든 조회수는 계정 성장을 위한 귀중한 피드백입니다. ‘인사이트 보기’와 ‘활동’ 탭만 잘 활용하면, 어떤 복잡한 분석 도구 없이도 가장 핵심적인 데이터를 매우 쉽게 얻고 이를 기반으로 성공적인 인스타그램 운영 전략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