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부르지 마세요! ‘에어컨 세척’ 초보도 성공하는 아주 쉬운 방법 대공개

전문가 부르지 마세요! ‘에어컨 세척’ 초보도 성공하는 아주 쉬운 방법 대공개

목차

  1. 에어컨 세척, 왜 중요할까요?
  2. 세척 전 필수 준비물 및 안전 수칙
  3. 셀프 에어컨 세척, 시작하기 (실내기 편)
    • 1단계: 전원 차단 및 외부 커버 분리
    • 2단계: 필터 청소 및 건조
    • 3단계: 냉각핀(에바포레이터) 세척
    • 4단계: 송풍팬(블로워 팬) 청소
    • 5단계: 물받이 트레이 및 외부 껍데기 세척
    • 6단계: 완전 건조 및 재조립
  4. 세척 후 에어컨 관리 팁

에어컨 세척, 왜 중요할까요?

전문가 부르지 마세요! ‘에어컨 세척’ 초보도 성공하는 아주 쉬운 방법 대공개

목차

  1. 에어컨 세척, 왜 중요할까요?
  2. 세척 전 필수 준비물 및 안전 수칙
  3. 셀프 에어컨 세척, 시작하기 (실내기 편)
    • 1단계: 전원 차단 및 외부 커버 분리
배너2 당겨주세요!

여름철 우리의 쾌적한 생활을 책임지는 에어컨. 하지만 작동할 때마다 꿉꿉한 냄새가 나거나 시원함이 예전 같지 않다면, 바로 세척이 필요하다는 신호입니다. 에어컨 내부, 특히 냉각핀송풍팬에는 사용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습기가 엉겨 붙어 곰팡이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됩니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전문가 부르지 마세요! ‘에어컨 세척’ 초보도 성공하는 아주 쉬운 방법 대공개

목차

  1. 에어컨 세척, 왜 중요할까요?
  2. 세척 전 필수 준비물 및 안전 수칙
  3. 셀프 에어컨 세척, 시작하기 (실내기 편)
    • 1단계: 전원 차단 및 외부 커버 분리

될 수 있으며, ② 에어컨의 냉방 효율을 떨어뜨려 전기 요금 폭탄의 주범이 되기도 합니다. ③ 곰팡이와 먼지로 인해 팬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아 소음이 증가할 수도 있죠. 따라서 주기적인 에어컨 세척은 건강, 효율, 소음 모든 면에서 매우 중요한 관리 방법입니다. 전문가를 부르면 좋겠지만, 비용과 시간 부담이 만만치 않은데요. 걱정 마세요! 이 글에서는 에어컨세척 매우 쉬운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릴 겁니다. 기본적인 도구만으로도 전문가 못지않게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세척 전 필수 준비물 및 안전 수칙

에어컨세척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물을 먼저 챙겨주세요. 복잡한 전문 장비는 필요 없습니다.

필수 준비물:

  1. 에어컨 세정제 또는 곰팡이 제거제: 전용 제품을 사용해야 냉각핀 부식을 막고 효과적으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베이킹소다나 식초 등 일반 세제는 내부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2. 분무기 또는 압축 분무기: 세정제를 고르게 도포하는 데 필요합니다.
  3. 마스크와 고글: 세척 과정 중 먼지나 세정제 분진 흡입 및 눈 접촉을 막기 위해 필수입니다.
  4. 긴 비닐(또는 에어컨 청소 커버): 세척 시 물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막고 물을 모아 배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5. 걸레 또는 극세사 타월: 외부와 내부 부품을 닦는 데 사용합니다.
  6. 칫솔, 청소용 솔: 좁은 틈이나 냉각핀 사이를 닦는 데 유용합니다.
  7. 드라이버: 외부 커버 분리를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안전 수칙:

  • 반드시 전원 차단: 세척 전에는 에어컨 본체의 전원을 끄는 것은 물론, 벽에 있는 차단기를 내려 전기를 완전히 차단해야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에어컨세척 매우 쉬운 방법을 실행하는 데 있어 안전을 보장하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 환기: 세정제를 사용할 때 독한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창문을 활짝 열어 충분히 환기시키면서 작업해야 합니다.
  • 무리한 분해 금지: 전문가가 아닌 이상 복잡한 내부 부품을 무리하게 분해하면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주로 냉각핀, 필터, 팬까지만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셀프 에어컨 세척, 시작하기 (실내기 편)

1단계: 전원 차단 및 외부 커버 분리

앞서 강조했듯이, 차단기를 내려 전원을 완전히 차단합니다. 이후 에어컨 본체의 외부 커버를 열어줍니다. 대부분의 벽걸이형이나 스탠드형 에어컨은 커버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나사를 풀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혹시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면 드라이버를 사용해 풀어줍니다. 커버가 분리되면 안쪽에 있는 필터가 보입니다.

2단계: 필터 청소 및 건조

에어컨에서 가장 먼저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는 세척 중 가장 쉬운 단계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1. 필터 분리: 필터를 조심스럽게 꺼냅니다.
  2. 진공청소기로 먼지 제거: 필터 표면에 붙은 큰 먼지들을 진공청소기로 먼저 흡입합니다.
  3. 물 세척: 흐르는 물에 중성세제(주방 세제 등)를 푼 뒤 부드러운 솔이나 손으로 문질러 닦아줍니다. 곰팡이가 심하다면 락스 희석액에 30분 정도 담가 두었다가 헹구는 것도 좋습니다.
  4. 완전 건조: 세척한 필터는 반드시 그늘에서 완전하게 말려야 합니다. 덜 마른 상태로 재장착하면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더 빨리 번식할 수 있습니다.

3단계: 냉각핀(에바포레이터) 세척

이 단계가 에어컨세척의 핵심이자 오염의 주범인 곰팡이를 제거하는 주요 과정입니다. 필터를 제거하면 안쪽에 은색이나 구리색의 얇은 핀들이 촘촘하게 박혀있는 부분이 보입니다. 이것이 바로 냉각핀입니다.

  1. 보양 작업: 냉각핀 아래와 주변 벽, 바닥으로 물이 흐르지 않도록 준비한 비닐 커버를 씌워줍니다. 이 커버는 세척수를 받아낼 수 있도록 아래에 버킷 등을 놓아줍니다.
  2. 세정제 도포: 에어컨 전용 세정제를 냉각핀 전체에 고르게 분사합니다. 핀이 촘촘하므로 세정제가 안쪽까지 충분히 스며들도록 뿌려줍니다. (※이때 전원부나 기타 전기 장치에 세정제가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불림: 세정제가 오염 물질을 녹일 수 있도록 제품 설명서에 따라 5분~10분 정도 기다려줍니다.
  4. 헹굼 (선택적): 전용 세정제는 보통 헹굼이 필요 없는 제품이 많습니다. 만약 물로 헹궈야 하는 제품이라면 압축 분무기 등을 이용해 깨끗한 물을 분사하여 잔여 세정제와 오염 물질을 흘려보냅니다. (이 물은 비닐 커버를 통해 배출됩니다.)

4단계: 송풍팬(블로워 팬) 청소

찬바람을 불어주는 역할을 하는 송풍팬 또는 블로워 팬은 곰팡이와 물때가 가장 심한 곳 중 하나입니다. 벽걸이형 에어컨의 경우 손이 잘 닿지 않아 청소가 어렵습니다.

  1. 팬 고정 및 노출: 스탠드형은 비교적 쉽지만, 벽걸이형은 송풍구 안쪽의 롤러 모양 팬을 청소해야 합니다. 팬을 돌지 않게 단단히 고정시키면서 닦아야 합니다. 일부 모델은 작은 나사를 풀어 송풍구 방향을 조금 더 내릴 수 있습니다.
  2. 세정제 도포: 팬 날개 사이사이에 곰팡이 제거제나 세정제를 분무합니다.
  3. 솔질: 긴 막대 솔이나 다이소 등에서 파는 에어컨 청소용 좁고 긴 솔을 이용해 팬 날개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닦아줍니다. 곰팡이와 물때가 묻어 나올 겁니다.
  4. 물로 헹굼: 마찬가지로 압축 분무기로 물을 분사하여 팬에 남아있는 세정제와 오염 물질을 헹궈냅니다. 물이 냉각핀을 거쳐 물받이 트레이로 흘러 내려가도록 합니다.

5단계: 물받이 트레이 및 외부 껍데기 세척

분리된 외부 껍데기와 에어컨 내부 하단에 있는 물받이 트레이(드레인 팬)도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1. 물받이 트레이: 물받이에는 곰팡이 포자, 먼지가 섞인 물이 고였다가 배출되면서 슬라임처럼 미끌미끌한 오염물이 생기기 쉽습니다. 솔과 세정제를 이용해 깨끗하게 닦아줍니다.
  2. 외부 껍데기: 분리한 외부 껍데기는 욕실에서 샤워기로 시원하게 씻어줍니다. 틈새에 낀 먼지는 칫솔을 이용해 제거합니다.

6단계: 완전 건조 및 재조립

모든 세척 과정이 끝났다면 완벽하게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습기가 남아있으면 다시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최소 3시간 이상 창문을 열어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1. 자연 건조: 에어컨 내부의 물기가 충분히 마를 때까지 기다립니다.
  2. 필터 및 커버 재조립: 완전히 마른 필터와 외부 껍데기를 역순으로 조립합니다.
  3. 송풍 가동: 모든 조립이 완료되면 차단기를 올려 전원을 연결하고, 송풍 모드로 에어컨을 30분~1시간 가량 가동시켜 내부의 남은 습기나 세정제 냄새를 완전히 날려줍니다.

세척 후 에어컨 관리 팁

이렇게 고생해서 깨끗하게 세척한 에어컨을 오래도록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핵심은 습기 제거입니다.

  • 사용 후 송풍: 에어컨을 끈 후에는 3분에서 10분 정도 송풍 모드로 가동하여 냉각핀과 팬에 맺힌 습기를 날려주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요즘 출시되는 에어컨은 ‘자동 건조’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해당 기능을 꼭 사용해주세요.
  • 주기적인 필터 청소: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필터만이라도 꺼내서 물 세척을 해주는 것만으로도 내부 오염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 냄새가 날 때: 냄새가 난다면 송풍을 켠 상태에서 에어컨 세정제를 뿌려주면 일시적으로 냄새가 완화되기도 합니다.

에어컨세척 매우 쉬운 방법을 따라 해봤다면, 이제 쾌적하고 건강한 바람을 만끽할 일만 남았습니다. 처음이 어렵지, 한번 해보면 다음번에는 더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겁니다.

댓글 남기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